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44)
web 자주사용하는 태그들 function viewList(){ $.ajax({ url:'${root}/book/', type:'GET', contentType:'application/json;charset=utf-8', dataType:'json', data : params, success:function(data) { makeList(data); }, error:function(xhr,status,msg){ console.log("상태값 : " + status + " Http에러메시지 : "+msg); } }); }
백준 : 8983 사냥꾼 Y정렬을 생각하다가 가장 중요한걸 생각하지못해다. 문제의 아이디어는 Animal 의 x 위치기준으로 좌 우에 있는 사대만 검사하면된다. 이때 Animal을 x기준으로 정렬한다면 사대위치를 다시 뒤로 볼필요가없다. 따라서 Animal.x를 기준으로 왼쪽에서 가장 가까운 사대위치를 찾고 왼쪽사대와 오른쪽 사대 길이를 비교해서 반환한다. package 삼성;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java.util.Compar..
백준 : 관중석(10166) JAVA 이문제는 완전탐색 문제다. 원을 등분하여 몇번째 자리인지 check 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번째 높이 관중석에 1번째 관중석의 각도는 1 / 3 이된다. 이것은 6번째 높이의 2 번째 관중석의 각도와 똑같다. 2 / 6 == 1 / 3 최대 2000까지 잇으므로 boolean 배열을 선언해서 gcd를 통해 분수를 기약분수로 나타냇을 때 관중석을 놔둬도 되는지 안되는지 판벼할 수 있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관중석 { static boolean View[][] = new boolean[2001][2001]; static int GCD(int a, int b) { // a >= b while (b != 0) { int c = a % b; a = b; b = ..
백준 : 10800 처음 로직은 맞았지만 크기가 2000인줄 착각해서 runtime 에러를 해결하지 못했다. 문제는 크기별로 정렬한뒤 누적사이즈 - 누적컬러사이즈[현재색갈] 을 빼주면 된다. 하지만 문제인것이 같은 색깔의 같은 사이즈가 나온다면 문제가없지만 다른 색깔의 같은 사이즈가나오면 같은 크기는 제거하지 못한다 그것은 pivot을 만들어서 다른색갈이 나올때마다 크기별 사이즈들을 저장해서 해결했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컬러볼 { static int N; static class Ball implements Co..
현대 모비스 서류탈락 광탈
웍스모바일 인턴 서류탈락 인턴지원하였지만 서류광탈 ㅜ
백준 : 17090 미로 탈출하기 visit의 방문을 체크하면서 list에 담고 범위를 벗어낫을 경우 ans++ 더하면된다. 이때 다음 방문하는 곳에 탈출한적이잇다면 바로 탈출 할수있게 ret 배열을 초기화해준다. package 삼성;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import 삼성.미로탈출하기.Pair; public class 미로탈출하기 { static int U[] = { -1, 0 }; stat..
SW아카데미 : 숫자게임 문제를 읽어보면 어떤숫자를 2~ n개로 나누엇을때 곱을 무한 반복하면서 가장 오랫동안 나눌 수 있는 경우는 최대 몇번인지 구하는 방법이다. 처음에는 BFS로 접근해서 Queue가 터지는 경우가 생긴다. 그경우는 num 이라는 숫자를 a*b = c 라고 한다면 어느 가지에서 c의 중복이 몇번 일어날 수있다. 따라서 각각의 가지를 hashMap으로 기억해놧다가 알고 있는 값이라면 빠르게 반환하는게 중요하다. 그리고 비트마스크를 이용해서 어떤숫자를 조각 할수있다. 숫자의 길이가 len =4 라고한다면 0000 // 아무것도 짜르지 않는경우 -> 이경우는 필요없으니 무시한다 0001 // 첫번째에 짜르는경우 ex 1234 를 1 234 로 나누는 경우다. 0101// 첫번째 3번째를 짜르는경우 1 23 4 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