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44)
spring boot mybatis Spring boot 에서 myBatis를 적용해보겠다. 마이바티란 간략하게 말해서 spring 과 Database 사이에 효율적인 맵핑 기능을 제공하고 번거로운 과정을 최소하 시켜준다. mapper라는 xml을 통해서 Repo에서 설정한 함수가 연결되 Database로 이동된다. myBatis 의존성 추가 / 내가 사용할 database 의존성 추가. org.mybatis.spring.boot mybatis-spring-boot-starter 2.1.3 mysql mysql-connector-java 8.0.21 Srping boot 에는 프로펄티스 라는 폴터에서 설정들을 관리한다. # mybatis 매핑 type을 짧게 쓰기 위한 설정 mybatis.type-aliases-package= com.xx..
오늘 할거 스프링에대해서 더 공부하고자한다. 어노테이션들을 정리하고 예제들을 한번 실행시켜볼 생각이다. 아........ 근데 머리자를려고했는데 사람많아서 못자르고 병원도 오늘 문닫아서 못가고 ㅜ 되는게 없다.
Spring Webflux 이란? 공부준비중
@어노테이션 만들기! @LogExecutionTime 어노테이션(어디에 적용할지 표시 해두는 용도) @Target(ElementType.METHOD) @Rel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public @interface LogExecutionTime{ } 실제 Aspect (@LogExecutionTime 애노테이션 달린곳에 적용) @Component -> bean 등록용 @Aspect -> AoP (프록시) 를 알리는 어노테이션 joinPoint란 @어노테이션 만든거 붙어있는 타겟을 의미한다. 이게 Aspect고 이게 스프링 AOP다... (면접에서 그걸 물어보는 거였군..) @Componet @Aspect public class LogAspect{ Logger logger = LoggerFac..
https certbot 을 이용해 배포하기 다음 명령어를 이용해서 리눅스 버전을 확인하자. /etc/*release* Cerbot 홈페이지에서 본인에게 맞는 Cerbot 설치방법을 확인하자. https://certbot.eff.org/ Certbot Different Internet services are distinguished by using different TCP port numbers. Unencrypted HTTP normally uses TCP port 80, while encrypted HTTPS normally uses TCP port 443. To use certbot –webroot, certbot –apache, or certbot –nginx, you should h certbot.eff.org 내버전 - Ubuntu 18..
nohup 사용법. Linux 커널 상단에서 Java -jar **.jar 파일을 이용해서 실행하다가 리누스 커널을 꺼버리면 실행한 jar파일도 같이 꺼지게되어서 서버가 배포가 되지않는다. 이런상황을 방지하기위해서 nuhup라는 명령어를 이용해서 백그라운드 상에서 jar파일을 실행하게 할 수 있다. nohup & 다음을 이용하여 파일을 등록한다 . ex) nohup java -jar SNSspring-0.0.1-SNAPSHOT.jar & ps -ef 명령어를 활용하여 백그라운드에 실행중인 파일을 조회해보자. ps -ef 다음과 같이 백그라운드에서 잘돌아 가는 것이 보인다. 다음 명령어를 이용해서 백그라운드에 등록된 ssh를 제거할 수 있다. kill -9 (pid)
Spring mybatis mapper 설정 및 repo 설정 mapper 기본 값 application.properties 설정 #mapper location settings mybatis.type-aliases-package= mybatis.mapper-locations=classpath:mappers/**/*.xml datasource 설정 #spring.datasource.url=jdbc:mariadb://127.0.0.1:3306/mydb #spring.datasource.username= #spring.datasource.password=
lombok을 사용해보자. 기본적으로 DTO( Data Transper Object)를 만들때는 다음과 같이 getter setter을 만들게 되어있다. public class User { String id; String pwd; public Stri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Stri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Pwd() { return pwd; } public void setPwd(String pwd) { this.pwd = pwd; }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User [id=" + id + ", pwd=" + pwd + "]"; } } 하지만 Lombok을 사용한다면 이 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