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44) 썸네일형 리스트형 직렬화란? 직렬화란 무엇인가? 자바 직렬화란 자바 시스템 내부에서 사용되는 객체 또는 데이터를 외부의 자바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Byte형태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술과 바이트로 변환된 데이터를 다시 객체로 변환하는 기술(역직렬화)을 아울러서 이야기합니다. 시스템적으로 이야기하자면 JVM(Java Virtual Machine 이하 JVM)의 메모리에 상주(힙 또는 스택)되어 있는 객체 데이터를 바이트 형태로 변환하는 기술과 직렬화된 바이트 형태의 데이터를 객체로 변환해서 JVM으로 상주시키는 형태를 같이 이야기합니다. 직렬화 실습 직렬화할 객체 직렬화 예제코드 실행 결과 rO0ABXNyABVjb20ubmF2ZXIudGVzdC5QZXJzb27dSuLZERrRxQIAA0wAA2FnZXQAEkxqYXZhL2xhb.. 템플릿 엔진(Template Engine)이란 ? 템플릿 양식과 특정 데이터 모델에 따른 입력 자료를 합성하여 결과 문서를 출력하는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말한다. 템블릿 엔진이 왜 나왔을까?? 웹이라는 세계에서 서버, 클라이언트(브라우저)가 있습니다. 기존 방식에서는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가져온 뒤 HTML로 만들어 클라이언트에게 보내주었습니다. but! 이방식은 페이지의 일부만 변할 때에도 전체 페이지를 다시 그려야하는 이슈가 발생합니다. (비효율적...) 이때문에 Ajax가 나왔고 프론트엔드단에서는 해당 필요한 데이터부분만 재가공하여 보여주면 되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끝난것은 아니였습니다. 데이터를 가공하는 손이 많이가는 것입니다. 보통 Jquery를 사용하거나 javascript를 사용하여 HTML에 가공된 데이터를 보여주.. HTML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HyperText : 문서와 문서가 연결되어 있다. Markup : Tag로 이루어져있다. Language : 언어 문서와 문서가 연결되어있는 Tag로 이루어진 언어라고 한다. 문서의 구조 문서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위치함 TAG 태그의 형식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컨텐츠 닫히는 태그가 필요없는 태그도 존재한다. ex) HTTP 란?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클라이언트가 브라우저를 통해서 어떠한 서비스를 url을 통하거나 다른 것을 통해서 요청(request)을 하면 서버에서는 해당 요청사항에 맞는 결과를 찾아서 사용자에게 응답(response)하는 형태로 동작한다. HTTP 특징 - HTTP 메세지는 HTTP 서버와 HTTP 클라이언트에 의해 해석이 된다. - TCP/IP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토콜이다. - HTTP는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비연결성 프로토콜이다. - HTTP는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요청/응답 방식으로 동작한다. 요청 (Request)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연락하는 것 GET,POST,PUT,DELETE가 있다. 크롬에게 개발자모드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 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1.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에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 2.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을 만드는 연결지향 프로토콜이다 3. 데이터는 네트워크선로를 통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손실되거나 순서가 뒤바뀌어서 전달 될 수 있는데, TCP는 손실을 검색해내서, 이를 교정하고 순서를 재조합할수 있또록 해준다. 장치들 사이에 논리적인 접속을 하기 위하여 연결을 선정하여 "신뢰성을 보장하는 연결형 서비스"이다. TCP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간에 일련의 옥텟(데이터, 메세지, 세그먼트라는 블록 단위)를 안정적 으로, 순서대로, 에러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한다. TCP의 특징 연결형 서비스 3-way 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연결을 설정 4-wa.. Internet Protocol(인터넷 통신규약)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를 구별하는 식별 번호의 일종이다. 이러한 IP는 OSI 7계층 모델의 관점에서 보면 IP 계층은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됩니다. - 네트워크 계층의 전송수단인 "패킷"을 목적지 까지 전달합니다. IP4 32bit 으로 구성된 IPv4 최대 약 40억개의 서로 다른 주소를 부여할 수 있다. 5개의 클래스를 가지며 주로 상위 3개의 클래스를 사용한다. 32bit를 8bit씩 10진수로 표현하여 4자리로 나타낸다. A Class : 1 ~ 126 ( 0 ~ 127 예약됨) ex) 61.211.123.22 B Class : 128 ~ 191 ex) 181.123.211.33 C Class : 192 ~ 223 (일반적인 가정집 클래스) ex) 221.23.222.222 아래 두클래스는 잘 사용.. COMMIT , ROLLBACK COMMIT - 모든 작업을 정상적으로 처리하겠다고 확정하는 명령어 - 트랜잭션의 처리 과정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기 위해서, 변경된 내용을 모두 영구 저장 - COMMIT 수행하면, 하나의 트랜잭션 과정을 종료 - 이전 DATA가 완전히 UPDATE된다. - 모든 사용자가 변경한 데이터의 결과를 볼 수 있다. ROLLBACK - 작업 중 문제가 발생했을 때, 트랜젝션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변경 사항을 취소하고, 트랜젝션 과정을 종료시킨다. - 트랜젝션으로 인한 하나의 묶음 처리가 시작되기 이전의 상태로 되돌린다. - 이전 COMMIT한 곳까지만 복구한다. Synchronization 동기화란? 동기화란 무엇일까??? 동기화란 말에서 오는 느낌처럼 어떤 2개이상의 무엇이 서로 무언가를 공유하고 합쳐지는 상태같은 느낌을 받는다. 컴퓨터과학에서 동기화를 정의하자면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들이 수행되는 시점을 조절하여 서로가 알고 있는 정보가 일치하는 상태라고 한다. 프로세스 동기화 - 하나의 자원을 한순간 하나의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것 스레드 동기화 - 하나의 코드블록 또는 메소드를 하나의 스레드만 이용하는 것 동기화를 화기위해서는 당연히 서로를 간섭하지 않기위한 LOCK이 필요하다. 서로가 간섭하면 안되는 구간을 우리는 임계구역이라 한다.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