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Git

(3)
Please see https://github.blog/2020-12-15-token-authentication-requirements-for-git-operations/ for more information githuvb,git hub가 수차례 이메일 보내고 이젠 기존의 id / password로 로그인 하는 방식이 불가능 해졌다. step1) 토큰 발급 세팅에 들어간다. Developer settings에 접속 Generate new token 발급 원하는 설정 맞추어서 실행 그럼 다음과 같이 토큰이 생성된다. 한번밖에 안보여주니깐 어디다가 저장해두자. 그럼 git push 같은 저장소에 접근하는 명령어를 치면은 Username과 password를 물어보는데 이때 password는 방금 발급받은 토큰이다 나처럼 왜 내 계정 비번 했는데 안되지 하지말자. (키체인 접근 설정에서 안바꾸고 github가 업데이트되면서 그냥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로 알아서 키체인에 저장해줌)
git : submodule 명령어 (git 안에 git 저장) git submodule이란 하나의 저장소안에 다른저장소를 다루는 방법입니다. Super | - - - sub1 | - - - sub2 저장소는 3개가 있습니다. super , sub1, sub2 Super 저장소는 sub1과 sub2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각을 원겨저장소에 저장한뒤 super에 sub모듈을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git submodule add git submodule add https://github.hongjeongmin/sub1.git lib 각각의 서브저장소에서 pull 해도 되지만 super 최상단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최신화 할 수 있습니다. git submodule update git submodule update --remote git submodule update는..
GIT 시작하기(버전관리의 본질) pwd pwd 디렉토리생성 mkdir gitfth git 생성 git init git 정보 검색 git init 모든 상태정보 검색 ls -al 이제 텍스트파일을 만들어 보자 vim 이라는 형식으로 f1.txt를 만든다. vim f1.txt 이때 화면에 입력이 되지 않는데 알파벳 "i"를 눌러서 입력상태로 바꾸고 입력을하자. 입력이 끝나면 esc를 눌러서 insert모드를 해제한다. 저장과 동시에 종료하기 :wq vim을 이용해서 말고 그냥 저장되어있는 정보를 보는 방법 cat f1.txt 버전관리를 위해서 필요한것중 하나는 status가 있다. status를 사용해보면 프로젝트 폴더의 상태를 확인한다. git status 그러면 unstracked라는 메세지를 볼 수 있는데 추적되어 있지 않다라는 상태..

반응형